반응형 전체 글30 채권이란 무엇인가? (3) - [장단기 금리 역전과 경기침체] 채권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 채권이란 무엇인가? (2) - [단기금리, 장기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수익률곡선, 기간 프리미엄] 채권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 채권이란 무엇인가? (1) -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는 반대로 간다] 채권, 특히 미국 장기국채는 최근 개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투자처 중 한곳입니다. 우리나 bgs-investment.tistory.com 이전 글에서 언급했듯이, 장기금리는 단기금리보다 높게 형성되어 수익률 곡선이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나는 것이 정상적입니다. 하지만 요즘도 그렇고, 간혹 가다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게 형성되는 모습을 우리는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높은 상황을 우리는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다'라고 표.. 2023. 11. 12.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11. 역투자란 무엇인가?)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유행을 쫓는 사람들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행을 쫓는다는 것 그 자체로, 유행을 쫓지 않는 투자자는 소수입니다. 그리고 ‘훌륭한 투자자’는 항상 소수에 속합니다. 앞선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훌륭한 투자를 위해서는 2차적 사고가 필수적입니다. 즉, 다른 사람들의 사고방식과는 다른 더 복잡하고 통찰력있는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는 추세추종과 시장의 견해와는 맞서 싸워야 한다는 의미이고, 추세를 따르는 포트폴리오는 멀리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시계추는 멈추지 않고 움직이고, 시장은 항상 주기를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궁극적인 투자 성공의 열쇠는 이러한 움직임과 반대로 움직이는 데 있습니다. 강세장이 생기는 이유는 매도하려는 사람보다 매수하려는 사람이 더 많기 때문이고, 의욕도 더 강.. 2023. 11. 8. 채권이란 무엇인가? (2) - [단기금리, 장기금리, 기준금리, 시장금리, 수익률곡선, 기간 프리미엄] 채권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 채권이란 무엇인가? (1) -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는 반대로 간다] 채권, 특히 미국 장기국채는 최근 개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투자처 중 한곳입니다. 우리나라의 개인들 뿐만 아니라 미국의 개미들도 미국 국채를 사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bgs-investment.tistory.com 채권은 돈을 빌렸다는 증표입니다. 다른 사람의 것을 사용했을 때에는 사용료를 내는 것이 당연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돈을 빌려 사용하면서, 사용료로 이자를 지불합니다. 이때 우리는 돈을 빌리는 원금과 지불해야하는 이자 금액의 비율을 비교하게 됩니다. 100만원 빌리는데 A은행은 이자가 5만원, 저한테 직접 빌릴 때는 이자가 20만원, B은행에서 빌릴 때는 이자.. 2023. 11. 4.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 2장에서도 언급했듯이 시장은 효율적이면서 비효율적입니다. 자산의 전망은 가격에 빠르게 반영되지만, 그게 맞는 가격은 아닐 수 있습니다. 효율적 시장에서는 가격이 항상 옳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효율성은 우수한 실적을 낼 수 있는 잠재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사람들은 대부분 비슷한 분석을 통해 비슷한 결론을 냅니다. 하지만 심리적인 영향에 의해서 비슷한 결론으로도 크게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가장 큰 투자 실수는 정보나 분석적 요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요인에서 나옵니다. 투자 실패를 부추기는 대표적인 심리적 요인에 대해 알아봅시다. 1. 탐욕 사람들은 돈에 대한 욕망으로 움직입니다. 이러한 돈에 대한 욕망은 자본수의 시스템을 굴러가게 만드는 원동력이고, 욕망 그 자체로는 아무 문.. 2023. 11. 3. 채권이란 무엇인가? (1) -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는 반대로 간다] 채권, 특히 미국 장기국채는 최근 개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투자처 중 한곳입니다. 우리나라의 개인들 뿐만 아니라 미국의 개미들도 미국 국채를 사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1년동안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같은 채권형 ETF 매수 행렬을 따라 매수하셨을 경우 적지 않은 손실을 입었을 것입니다. 예상과는 다르게 채권금리가 상승해서, 채권 가격이 계속해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채권 가격과 채권 금리는 반대로 움직입니다. 채권 금리는 흔히 채권 수익률이라고도 말합니다. 채권을 처음 접하신 개인 투자자분들은 여기서부터 헷갈리기 시작합니다. 아니! 채권 수익률이 올라갔는데! 왜 채권이 손실인거야! 수익률이 올라갔잖아! 그 이유를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채권을 가장 쉬운 단어로 표현하자면 빚문.. 2023. 10. 31.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 투자자들의 태도와 행동은 시계추처럼 규칙적으로 움직입니다. 이 시계추의 양 끝의 이름은 각각 탐욕과 공포입니다. 한쪽 끝을 향해 가는 움직임 자체가 역방향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동력을 제공합니다. 시계추가 중심에 있는 시간은 매우 짧고, 투자자 심리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중도보다는 양극단에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많습니다. 이 탐욕과 공포를 이야기할때 가장 중요한 부분이 ‘리스크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입니다.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리스크를 허용하면 증권 가격 자체에 수익보다는 리스크가 더 많이 들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투자자들이 지나치게 리스크를 회피하면 리스크보다는 수익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투자의 주요 리스크는 크게 두가지로 압축시킬 수 있습니다. 하나는 자금 손실에 .. 2023. 10. 25.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3) - [베이시스, 콘탱고, 백워데이션]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2) - [증거금, 마진콜, 레버리지]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1) - [선도(Forward)거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주식, 특히 우리나라 주식관련된 방송이나 영상을 보다 보면 꼭 외국인의 선 bgs-investment.tistory.com 선물 가격은 선물 자체의 가격이 있습니다. 하지만 선물 가격은 현물 가격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이 비슷하게 움직이지만 그 차이가 항상 존재합니다. 사과 선물을 거래한다고 하면, 1년 뒤의 사과 가격을 지금 거래하는 것입니다. 아니, 1년 뒤에 사과 가격이 어떻게 바뀔 .. 2023. 10. 24. 투자에 대한 생각 - 하워드 막스 (8. 주기에 주의를 기울여라) 하워드 막스는 주기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문가입니다. 주기가 존재하는 이유가 인간 심리와 닿아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기계는 동력이 계속 공급된다면 같은 동작을 무한히 반복하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습니다. 인간은 감정적이고, 일관되지 못하며, 꾸준하지도 않고, 단순하지도 않기 때문에 인간을 포함할 때 결과는 다양해지고 주기적으로 변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주기에 관한 하워드 막스의 두가지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것들이 주기를 따른다는 사실이 증명될 것이다. 수익과 손실을 가져오는 가장 큰 기회들은, 다른 이들이 원칙 1을 망각했을 때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주기는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 환경의 변화, 기술의 발전, 기업의 의사결정과 같은 객관적인 요소들이 주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은 분.. 2023. 10. 23.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2) - [증거금, 마진콜, 레버리지]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 이전 글 보기 선물(Futures)이란 무엇인가? (1) - [선도(Forward)거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주식, 특히 우리나라 주식관련된 방송이나 영상을 보다 보면 꼭 외국인의 선물 매수가 어쩌고, 매도가 어쩌고 하는 이야기를 들으셨을 것입니다. 우리나라 시장의 경우 선물시장이 현물(일반 주 bgs-investment.tistory.com 그렇다면 선물 거래소에서 거래는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질까요? 선물 거래를 하기 위해서는 거래소에 일정 수준 이상의 증거금을 예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 선물 가격이 1000원이라고 가정한다면, 사과 선물 거래소는 100원 이상을 계좌에 넣어 두어야 거래를 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거래소가 제시한 기준 이상의 증거금을 .. 2023. 10.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